01. 과학적관리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테일러(F. Taylor)가 창시하였으며, 경영에 있어서 능률과 이윤의 극대화를 추구하였다.
② 시간연구와 동작연구를 통한 유일 최선의 관리원칙을 발견하려 하였다.
③ 작업과정에서 시간과 동작과정을 세밀히 분석․연구하여 작업과정과 그 실적을 표준화함과 함께 업무결과에 따라 차별 성과급 지급을 주장하였다.
④ 객관적 자료보다는 개인의 경험을 중시
02. 인간관계론의 기본개념으로 설명이 바르지 못한 것은?
① 과학적관리론에 대한 반성과 인간적 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1930년대에 등장하였다.
② 호손실험은 4단계에 걸친 실험의 결과로 생산능률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리적 작업조건이 아니라 개인적․심리적․사회적 요인이라는 점을 밝혀냈다.
③ 호손실험에서 조명수준과 근로자의 능률 간에 유의미한 관계를 발견했다.
④ 감독자(조직관리자)가 조직구성원을 인간적으로 배려하여야만 직원의 심리적 만족감을 높이고 이를 통해 작업능률(생산성)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.
03. 조직이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 (2014 국가9)
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 내부의 효율성과 합리성이 중요한 논의 대상이었다.
②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인간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조직행태론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.
③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인간의 조직 내 사회적 관계와 더불어 조직과 환경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.
④ 현대적 조직이론은 동태적이고 유기체적인 조직을 상정하며 조직발전(OD)을 중시해 왔다.
04. 에치오니(Etzioni)가 주장한 조직의 유형 중 공리조직의 특징은?
① 규범적 권력, 도덕적 관여 ② 강제적 권력, 도덕적 관여
③ 보수적 권력, 타산적 관여 ④ 강제적 권력, 소외적 관여
05. 계층제의 원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?
① 계층제는 대규모조직이 특색이다.
② 계층제는 계선조직을 중심으로 형성된다.
③ 계층제는 조정의 원리와 상반된다.
④ 계층제는 명령과 복종의 체계라 할 수 있다.
06.계선(系線)조직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? (2007 국가9)
① 권한과 책임의 한계가 명확하다.
② 정책을 결정하는 데 주로 조언의 권한을 가진다.
③ 기관장과 빈번하게 교류한다.
④ 수평적인 업무 조정이 용이하다.
07.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2015 지방9)
① 메이요(Mayo)등에 의한 호손(Hawthorne)공장 실험에서 시작되었다.
② 공식조직에 있는 자생적, 비공식적 집단을 인정하고 수용한다.
③ 인간의 사회적 욕구와 사회적 동기유발 요인에 초점을 맞춘다.
④ 조직이란 거래비용을 감소하기 위한 장치로 기능한다고 본다.
08. 통솔범위의 원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통솔범위는 한 사람의 상관이 효과적으로 다스릴 수 있는 부하의 수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.
② 좁은 통솔범위는 계층의 수가 많은 고층(tall)조직을 가져온다.
③ 넓은 통솔범위는 계층의 수가 적은 저층(fiat)조직이 되기 쉽다.
④ 최근에는 상관과 부하 간 친밀한 의사소통을 위해 좁은 통솔범위를 선호한다.
09. 조직의 구성원 간에 지시나 보고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지시는 한 사람만이 할 수 있고, 보고도 한 사람에게만 하여야 한다는 조직편성의 원리는 무엇인가?
(2015 경찰공채)
① 통솔범위의 원리 ② 조정의 원리
③ 명령통일의 원리 ④ 계층제의 원리
10. 우리나라 행정기관 소속 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(2015 지방 9)
① 행정위원회와 자문위원회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.
② 방송통신위원회, 금융위원회, 국민권익위원회는 행정위원회에 해당된다.
③ 관련분야 전문지식이 있는 외부전문가만으로 구성하여야 한다.
④ 자문위원회의 의사결정은 일반적으로 구속력을 갖지 않는다.
<정답 및 해설>
01. ④ 02. ③ 03. ③ 04. ① 05. ③ 06. ① 07. ④ 08. ④ 09. ③ 10. ③
01번 해설 : ④ 주먹구구식 업무관행보다는 과학적 조사, 연구, 실험 등을 통한 자료수집과 그에 따른 과학적 조직관리에 관한 원리를 밝히고자 노력했다.
02번 해설 : ③ 조명실험(수준)과 근로자의 능률에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.
03번 해설 : ③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 내 개인의 사회적 관계를 인정하였으나 인간의 심리적 성격과 조직 내 사회적 관계르 지나치게 중시하여 환경과의 관계를 제대로 취급하지 못했다.
05번 해설 : ③ 계층제는 조정의 원리가 아니라 통솔범위의 원리와 상반된다. 즉 한명의 상관이 부하를 통솔하는 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계층제가 존재하는 것이다. 통솔범위의 한계가 계층제를 성립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이다.
06번 해설 : ① 계선조직은 계층제에 의하여 상하간의 명령복종관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권한과 책임의 한계가 명확하다. ①~③은 막료조직의 특징에 해당한다.
07번 해설 : ④ 조직이란 거래비용을 감소하기 위한 장치로 기능한다고 보는 입장은 거래비용이론으로 현대적 조직이론에 해당한다.
08번 해설 : ④ 최근 조직이론은 신속한 의사결정, 비용효율성, 권한의 위임을 위해 넓은 통솔범위를 가지는 저층조직을 선호한다.
10번 해설 : ③ 행정기관 소속 위원회의 경우 전문가들이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직 의 형태로, 외부전문가만 구성되지 않는다.
'한번에 크롤링하는 행정학(제2판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3장 제6절 리더십과 동기부여 객관식문제 (0) | 2020.02.08 |
---|---|
제3장 제4절 관료제 객관식 문제 (0) | 2020.02.08 |
제2장 제7절 정책변동 객관식 문제 (0) | 2020.02.08 |
제2장 제1절 정책 객관식 문제 (0) | 2020.02.08 |
제1장 제11절 행정문화와 행정환경 객관식 문제 (0) | 2020.0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