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1절 개설
1. 현대행정조직의 특질과 거리가 먼 것은?
㉮ 행정조직의 통일성ㆍ계층성: 행정목적의 통일적 수행을 위하여 행정조직은 원칙적으로 상하행정기관 사이에 명령과 복종에 의하여 규율되는 통일적이고 계층ㆍ체계적인 형태를 갖는다.
㉯ 행정조직의 독임성과 책임의 명확성: 행정은 사무의 신속한 처리와 책임의 명확성을 위하여 독임형 조직을 원칙으로 하나, 경우에 따라 신중성이나 공정성이 특히 요청되는 때에는 합의형 조직(행정위원회)을 채택한다.
㉰직업공무원제도: 현대행정의 복잡화ㆍ전문화ㆍ기술화에 대응하기 위해 행정조직의 인적 요소로서의 공무원은 직업공무원임을 원칙으로 한다.
㉱ 행정조직의 평등성: 행정조직은 대외적으로 국민의 민주적 통제하에 놓여 있어야 할 뿐 아니라, 대내적으로도 그 평등성이 제도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.
풀이 | (답) ㉱ |
평등성이 아닌 민주성이다. 답
2. 현대행정조직의 특색과 거리가 먼 것은?
㉮ 행정조직의 거대화 ㉯ 행정조직의 통일성ㆍ계층성
㉰ 행정조직의 독임성과 책임의 명확성 ㉱ 행정조직의 획일화
풀이 | (답) ㉱ |
행정현상의 복잡ㆍ다기성을 모두 포섭하기 위해서는 행정조직을 획일화해서는 안된다. 따라서 우리나라도 독임제에 합의제를 가미하고 있는 것이다.
3. 우리나라 행정조직의 기본원리라고 볼 수 없는 것은?
㉮ 행정기관법정주의 ㉯ 행정조직의 민주화
㉰ 직업공무원제 ㉱ 합의제기관의 원칙
풀이 | (답) ㉱ |
우리나라의 경우 독임제에 합의제를 가미하고 있고 이외에 지방분권주의 임.
제2절 국가행정조직법
1. 다음 중 국가 지방행정기관에 행당되지 않는 기관은?
㉮ 지방보훈청(지청) ㉯ 지방국세청(세무서ㆍ세관)
㉰ 출입국관리사무소 ㉱ 소방서
풀이 | (답) ㉱ |
소방서는 각 시도 사무에 해당한다.
제2절 자치행정조직법
1. 지방자치의 위기와 거리가 먼 것은?
㉮ 사회구조의 변화 ㉯ 복리국가주의
㉰ 지방자치의 정당화 ㉱ 지방의 특성화
풀이 | (답) ㉱ |
지방의 특성화는 지방자치를 제도화해야 할 이유이다.
2.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하는 조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㉮ 법령의 범위 안에서 제정할 수 있다.
㉯ 고유사무만 법률의 위임 없이 제정할 수 있다.
㉰ 주민의 권리제한 또는 의무부과에 관한 사항이나 벌칙에 대한 조례는 법률위임이 있어야 한다.
㉱ 조례위반행위에 대하여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정할 수 있다.
풀이 | (답) ㉯ |
조례는 고유사무와 단체위임사무에 관해서만 제정할 수 있는 것이 원칙인바, 고유사무의 경우뿐만 아니라 단체위임사무에 관하여서도 법률의 위임 없이 제정할 수 있다.
3. 지방자치법상 재의요구에 관련되지 않은 것은?
㉮ 재의요구사유로 공익위반 사항도 포함된다. ㉯ 지방의회도 재의요구가 가능하다.
㉰ 상급기관에 의한 타율적인 경우도 있다. ㉱ 이의 대응수단으로 지방의회의 재의결이 있다.
풀이 | (답) ㉯ |
재의요구권은 자치단체의 장의 권한이다.
4. 지방자치단체의 고유사무(자치사무)가 아닌 것은?
㉮ 쓰레기처리사무 ㉯ 병사사무
㉰ 소방사무 ㉱ 초등학교 설치
풀이 | (답) ㉯ |
병사사무는 국가사무에 해당한다.
제4절 소방행정조직법
1. 다음 중 특정소방대상물의 자위소방조직 대원으로 볼 수 없는 것은?
㉮ 소방안전 보조관리자 ㉯ 위험물안전관리자
㉰ 의용소방대 ㉱ 소방안전관리자
풀이 | (답) ㉰ |
의용소방대는 별도의 법적 조직으로 소방서장의 업무를 보좌한다.
2. 대등 소방관청 간의 관계에 있어서 권한감독관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?
㉮ 감시권 ㉯ 중재권
㉰ 인가권, 취소.정지권 ㉱ 훈령권, 주간쟁의 결정권
풀이 | (답) ㉯ |
중재권은 없다
제5절 소방관청 권한의 대리와 위임
1. 행정관청의 권한의 대리에 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?
㉮ 법정대리는 피대리관청의 권한의 전부를 대리한다.
㉯ 지정대리와 서리의 차이점은 관청구성자의 존재여하에 의하여 구별된다.
㉰ 임의대리는 현명주의 가 필요하지만, 법정대리는 필요없다.
㉱ 임의대리나 법정대리 모두 그 효과는 피대리관청에 귀속된다.
풀이 | (답) ㉰ |
임의대리나 법정대리 모두 현명주의를 요한다. 예를 들면 법무부장관 대리인 법무부차관 김xx라는 표현에서 이를 볼 수 있는 바와 같이, 법정대리에서도 현명주의를 요한다.
2. 행정청의 권한의 위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㉮ 법령의 명시적 근거를 요하지 않는다.
㉯ 상대방의 동의를 요한다.
㉰ 위임청은 수임청이 권한을 행사하지 않을 때 그 권한을 대행할 수 있다.
㉱ 항고소송의 피고는 수임청이 된다.
풀이 | (답) ㉱ |
㉮ 위임은 반드시 법적 근거를 요하며, ㉯ 위임을 함에 있어서 상대방의 동의는 필요치 않다. ㉰ 위임이 있게 되면 위임청의 권한이 수이멍에 완전히 이전되므로 수임청이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위임청이라고 해서 그 권한을 행사할 수는 없다. ㉱ 위임된 사항에 대하여 항고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피고는 수임청이 된다.
• 핵심정리 : 대리와 위임
대 리 | 위 임 |
권한의 귀속자체 불변 | 권한 자체의 실질적 이양 |
임의대리는 법적근거 불필요 | 법적근거 필요 |
피대리관청의 보조기관이 함이 일반적 | 하급관청이 함이 일반적 |
대리행위임을 표시(대리관청의 이름으로) | 표시하지 않음(본래의 행정관청의 이름으로) |
제6절 소방관청 상호간의 관계
1. 대등 소방관청 간의 관계에서 권한의 협력관계로 볼 수 없는 것은?
㉮ 사무의 위탁 ㉯ 사무의 촉탁
㉰ 권한의 침해 ㉱ 행정의 응원
풀이 | (답) ㉰ |
권한의 침해는 아니다.
2. 대등 소방관청 간의 관계에 있어서 권한감독관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?
㉮ 감시권 ㉯ 중재권
㉰ 인가권, 취소.정지권 ㉱ 훈령권, 주간쟁의 결정권
풀이 | (답) ㉯ |
중재권은 없다
3. 다음 중 상하 소방관청 관계가 아닌 것은?
㉮ 권한대리관계 ㉯ 권한위임관계
㉰ 권한침해관계 ㉱ 권한감독관계
풀이 | (답) ㉰ |
권한침해관계는 없다.
제7절 공무원법
1. 다음 중 공무원의 임용에 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?
㉮ 결격사유가 없을 뿐 아니라, 일정한 능력을 실증할 수 있어야 한다.
㉯ 상대방의 동의가 없는 임명행위는 무효이다.
㉰ 임용장에 기재된 날짜에 임용된 것으로 본다. ㉱ 임용장의 교부로써 그 효력이 발생한다.
풀이 : 임용장의 교부는 공무원으로 임용되었다는 것으로 증명하는 의미가 있을 뿐, 임용장의 교부가 효력발생요건에 해당하지는 않는다. (답) ㉰
2. 공무원의 직권면직의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㉮ 직제와 정원의 개폐 또는 예산의 감소 등에 의하여 폐직 또는 과원이 되었을 때
㉯ 휴직기간 만료 또는 휴직사유가 소멸된 후에도 직무에 복귀하지 아니하거나 직무를 감당할 수 없을 때
㉰ 직무수행능력이 부족하거나 근무성적이 극히 불량한 때
㉱ 직무수행능력이 부족하거나 근무성적이 극히 불량하여 직위해제되어 대기명령을 받은 자가 그 기간 중 능력 또는 근무성적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인정된 때
풀이 : 공무원의 직권면직사유로는, 1) 직제ㆍ정원의 개폐, 예산감소 등으로 폐직ㆍ감원, 2) 휴직기간만료, 휴직사유소멸 후에도 직무복귀가 불가능하거나 하지 않는 경우, 3) 직위해제 후 대기명령을 받았으나 그 기간 중 능력 또는 근무성적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인정하는 경우, 4) 전직시험에 3회 이상 불합격자로서 직무수행능력이 부족한 경우, 5) 징병검사ㆍ입영ㆍ소집명령의 기피, 또는 재영 중 군무이탈, 6) 직무수행에 필요한 자격증의 효력상실 또는 면허취소 등이 있다. <국가공무원법 제70조 제1항>. (답) ㉰
제8절 소방공무원법
1. 소방공무원법 제24조 징계 절차에서 소방공무원의 징계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?
① 국가소방공무원의 징계는 관할 징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그 징계위원회가 설치된 기관의 장이 하되, 「국가공무원법」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으로 설치된 징계위원회에서 의결한 징계는 소방청장이 한다.
② 지방소방공무원의 징계는 관할 징계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임용권자가 한다. 다만, 소방서에 설치된 소방공무원 징계위원회에서 의결한 정직·감봉 및 견책은 소방서장이 한다
③ 소방공무원의 징계의결을 요구한 기관의 장은 관할 징계위원회의 의결이 경(輕)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그 처분을 하기 전에 직근(直近) 상급기관에 설치된 징계위원회(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징계위원회의 의결에 대해서는 그 구분에 따른 징계위원회를 말한다)에 심사 또는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.
④ 소방서에 설치된 소방공무원 징계위원회의 의결: 소방청에 설치된 소방공무원 징계위원회
풀이 : 소방서에 설치된 소방공무원 징계위원회의 의결은 시·도에 설치된 소방공무원 징계위원회에서 한다. (답) ④
'소방행정법총론(김국래 외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7장 인허가 법제실무 핵심 가능 출제 문제 (0) | 2021.11.09 |
---|---|
제6장 특별행정작용법 핵심 가능 출제 문제 (0) | 2021.11.09 |
제4장 행정구제 핵심 출제 가능 문제 (0) | 2021.11.09 |
제3장 행정법상 의무이행 확보수단 핵심 출제 가능 문제 (0) | 2021.11.09 |
제2장 행정작용 핵심 출제 가능 문제 (0) | 2021.1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