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능형 소방 예측 시스템(이동규)

[QR부록 2] 그림과 표로 이해하는 소방청 자료 2

도서출판 윤성사 2020. 6. 12. 11:23

[소방청 빅데이터 분석 변수 및 위험도 산출 모델]

 

1. 분석 변수 : 49

화재강도 변수 : 31

 

구분

변 수

구 분

변 수

건축특성

총층수

소방시설 특성

소화기

지상층수

수계소화설비_수동식

지하층수

수계소화설비_자동식

건물의 건축양식(건물구조식)

가스계소화설비

건물의 기둥형태(건물구조조)

자동화재탐지설비

건물의 지붕형태(건물구조즙)

자동화재속보설비

건물 연 면적

비상경보설비

연소확대방지(방화구획)

비상방송설비

준공년(건물연수)

연결송수관설비

화재이력

연결살수설비

과태료부가이력

비상콘센트설비

건물피난특성

피난설비

무선통신보조설비

부속실제연

소화용수설비

건물사용특성

건물의 복잡도

소방안전관리자 자격등급

건물주용도

다중이용업소 특성

다중이용업소 수

-

-

다중이용업소 면적합

 

 

화재빈도 변수 : 16

구 분

변 수

구분

변 수

에너지 사용요인

화기시설

위험물 관리요인

위험물시설

전기시설

총 위험물 수량

가스시설

날씨

날씨

위험물시설

온도

총전기사용량

풍속

단위면적당 전기사용량

강수량

가스 사용량

인적 위험요인

지역인구

단위면적당 가스사용량

화재보험

화재보험 가입여부

 

기타 변수 : 2(재산 피해 및 인명피해)

 

2. 위험도 산출 모델

화재강도지수 산출을 위한 선형회귀모델 개발 : 3개 변수 사용

화재빈도지수 산출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모델 개발 : 9개 변수 사용

- 연면적, 지하층수, 준공년도, 수계소화설비 수동식, 화기시설, 위험물대상여부, 연소확대방지 방화구획, 비상방송설비, 자동화재탐지설비

 

 

[소방청 예측시스템 구축 계획단계 관련자료]

 

1. 시스템 개념도

소방대상물점검 및 화재관련 DB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예방 및 현장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

 

 

 

2. 세부 사업내용

데이터 수집 및 분석

 

 

 

 

데이터 수집

119소방현장통합관리시스템 : 소방현장DB(신규)

소방민원정보시스템 : 위험물 DB, 다중이용업소DB, 건물점검 DB

긴급구조표준시스템 : 출동정보DB, 소방서 위치정보

구 분

데이터 양

활용도

소방대상물 DB

- 16개 시도 소방대상물 753,437

화재예방 대상

위험물 DB

- 16개 시도 위험물 127,491

화재피해위험분석

다중이용업소DB

- 다중이용업소 10만건

- 다중이용업소 내 소방시설 객체 DB : 50만건

인명피해위험분석

소방시설점검DB

- 선해임 28만건, 시설자체점검 80만건

소방시설취약성 &

화재위험원인분석

- 매년 32만건 점검내역 증가

소방출동DB

- 연평균 42천건

화재원인분석

수집정보 추출 : 정보수집 DB에서 필요정보들을 추출

위험물질취급업소정보, 과태료정보, 건물점검정보, 다중이용업소정보, 출동정보, 소방서 및 센터 위치정보 등)

분석 : 정보를 분석하여 정량적인 수치로 도출함

화재위험이 높고, 위험물질취급업소 근처이며, 소방시설미비로 인한 과태료 부가, 다중이용업소에 화재로 인한 출동이력, 현재 소방서와의 위치가 먼 경우 : 위험지수 높음

 

 

 

시각화 : 위험지수를 지도에 노출사고, 영역별로 색깔로 표시

위험지구는 빨간색)하여 사용자(지역소방서, 소방본부관계자)가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

 

 

 

<소방점검분석에 의한 건물별 화재위험 시각화>

 

 

 

 

<권역별 시설위험등급별 시각화>

 

 

 

 

<권역별 화재위험지수별 시각화>

 

 

분석결과(기대효과)

지도위에 영역(위험시 빨간색)이 표시가 되고, 위험지수(높을수록 위험) 나타나며 해당시설물은 특별조사 대상으로 분류하여, 사전에 사고(화재 등)발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(예방)

분석결과 활용방안

분석결과

활용방안

주요 활용주체

소방점검

기반 건물별 화재위험도

- 고위험군 시설의 경우 특별조사 대상 선정

- 소방시설 기능점검 강화 -> 시설보완 유도

소방서

지역별 화재위험도

- 고위험군 시설의 군집과 위험시설, 다중이용업소 인접성을 분석하여 화재위험지역 설정

- 화재위험지역의 소방용수설비, 진입로 상태 중점 점검

소방서, 경찰청,

지자체

소방민원 행정처분분석

- 소방시설 불량률 저감 대책 수립

- 노후시설, 개선조치 미흡시설 등 유형별 맞춤형 화재예방 활동계획 수립

국민안전처

시도소방본부

국토교통부

 

 

 

<화재위험도 예측결과의 업무 활용>